(NMKP: 네팔 노동자농민당, CPN[MC] – NSP: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 – 네팔 사회당, CPN[UML]: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CPN[US]: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PSP-N: 네팔 사회주의인민당, LSPN: 민주사회주의당, JP: 여론당, NC: 네팔 의회당, NUP: 인민자유당, RSP: 민족독립당, RPP: 국가민주당)
2022년 네팔 총선 최종결과(투표율: 61.41%[-7.22])
CPN[UML](좌익,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주의): 26.95%(-6.30), 78석(-43)
NC(중도-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제3의 길): 25.71%(-7.07), 89석(+26)
CPN[MC](극좌, 마르크스-레닌주의, 마오주의): 11.13%(-2.53), 32석(-21)
RSP(빅텐트, 사회자유주의, 진보주의, 대중주의): 10.70%(NEW), 20석(NEW)
RPP(중도우파-우익, 힌두민족주의, 군주주의): 5.58%(+3.52), 14석(+13)
PSP-N(중도좌파-좌익, 민주사회주의, 연방주의): 3.99%(-6.75), 12석(-22)
JP(사회민주주의, 지역주의, 마데시족 권익): 3.74%(NEW), 6석(NEW)
CPN[US](좌익,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주의): 2.83%(NEW), 10석(NEW)
NUP(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따루족 권익): 2.57%(NEW), 3석(NEW)
LSPN(중도좌파, 사회민주주의, 마데시족 권익):1.58%(NEW), 4석(NEW)
NMKP(극좌, 주체사상, 공산주의, 자급자족): 0.71%(+0.12), 1석(=)
기타 군소 정당/무소속 후보들: 4.51%(-8.71), 6석(+4)
네팔 의회당 득표 급락에도 의석 제1당 등극이나 제2여당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과 제1야당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패배자 연정(1당 제외) 구성을 선언하며 연정 수립, 네팔 의회당 등은 신임과 보완으로 여권 잔류, 네팔 사회주의인민당 제외한 군소/신생정당들 약진하며 원내 입지 강화, 네팔 노동자농민당 포함해서 2명의 의원만 내각 반대
전체 의석: 275석
과반 의석: 138석
비례대표 봉쇄조항선: 3%
지난 이야기: https://blog.naver.com/gksejrdn7/222751646813
지난 20세기, 네팔은 마헨드라 국왕 하에서의 근대화 추진을 명분으로 한 의회해산 및 다당제 금지 등 전제 군주정 강화조치로 인해 대규모의 민주화 요구 시위와 마오이스트 반군의 득세로 신음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즉위한 비렌드라 국왕은 전대가 초래한 각종 혼란상을 수습하고 교육투자에 박차를 가했으며, 취임 즉시 국민투표 시행을 통해서 현 권위주의 판차야트 무정당체제의 정당성을 확보하되 재야세력의 요구를 일부 받아들여 대의제 성격을 가미하며 국민적 요구를 달래려 했습니다.
위와 같은 조치들과 국왕 본인의 검소한 면모로 인해 왕실 관련 사업체들의 시장 장악 등으로 인한 독점 체제 및 부 축적 논란에도 불구하고 왕실에 대한 국민적 인기는 올라만 갔습니다.
그리고 80년대 말을 풍미한 전세계적 자유/민주화 열풍에 힘입어 네팔 내 민주화 시위(당시 40만 카트만두 인구 중 20만 참가)가 90년 들어 더욱 거세지자 다당제 민주주의 입헌군주제 재도입 및 개헌, 네팔 의회당/공산당 합법화와 같은 타협안에 동의하며 체제안정과 야권의 제도권 합류로 인한 반군 고립이라는 두 마리 토끼까지 잡게 됐습니다.
이렇듯 비렌드라 국왕 치하에서 네팔은 순조롭게 안정기를 맞이하는 듯했으나, 빈곤한 농민들의 삶과 극심한 부정부패 및 정치 불안은 여전하여서 마오이스트 반군들은 이를 기반으로 오히려 더욱 세력을 불리며 투쟁을 확대했습니다.
그리고 94년 총선으로 출범한 공산당 내각이 이듬해 붕괴되면서 합법 투쟁의 결과물에 실망한 공산당 강경파들이 이에 합류해 96년부터 군주정 붕괴, 경제 평등, 여권 신장을 내세우며 대대적인 내전(인민전쟁)이 발발했습니다.
국토의 1/3이 반군으로 넘어가기 시작한 상황에서 이에 대처할 의회 민주주의 온건파의 구심점이 될 왕실은 한 비극적 사건이 터지며 치명타를 입고 말았습니다. 2001년 6월 디펜드라 왕세자가 불확실한 동기(국왕부부의 결혼 반대? 라나 가문의 권력 독점 묵인에 불만? 마약 중독 환각? 내/외부 세력의 개입?)에 기반하여 숙부 갸넨드라(포카라 지역 출장) 및 사촌 파리스(설득 실패 후 사촌 자매 자식들 피신?)를 제외한 왕실 구성원 전원을 몰살시키고 자살해버린 것입니다.
피신에 성공한 여계 후손을 제외하곤 비렌드라의 남은 자손들이 전멸하다시피 해버리자, 그나마 가까운 남자 직계였던 비렌드라의 동생 갸넨드라가 재위를 잇게 됐습니다.
그러나 참사 당시 혼자만 본의 아니게 빠져나와 있던 상황으로 인해 사태 연루 의혹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서 취임 초부터 정통성에 상당한 손상을 입던 와중에, 왕실 참극 및 반군으로 인한 정세 불안을 명분으로 개헌과 내각 해산 및 국가 비상 사태를 선포하며 사실상의 전제 정치를 선언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각종 주요 기관 및 언론 장악과 공항 폐쇄 조치까지 내려지고 민주화 시위 탄압과 함께 대 마오이스트 강경노선을 선언하며 대대적 군대투입에 나서면서 안 그래도 참사로 흉흉하던 민심이 왕실로부터 완전히 돌아서게 됐으며, 네팔 의회당 등은 아예 입헌군주정에서 공화정으로 노선을 변경하게 됐습니다.
더군다나 이러한 조치는 마오이스트 반군에게 더할 나위 없는 명분을 실어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였으며, 여러 내부 단속 조치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벌어지던 마오이스트 단원들의 잔혹 행위들로 인해 민심 완전 장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반군들에게 갸넨드라 정부군의 반군 제거를 명분으로 한 고문살인 증가(진영을 막론하고 수만명의 사망자와 수천명의 실종자 발생)는 결정적 승기를 잡게 해주었습니다.
승승장구하는 반군들과 완전히 돌아선 온건파 정당들에 의해 수도 카트만두에서도 밀리기 시작하며 수세에 몰린 갸넨드라는 범국민적 왕정 폐지 국민투표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으며, 2008년 제헌의회 선거에서 네팔 공산당[마오주의]을 위시한 왕정폐지파가 압승하며 네팔은 마침내 공화국이 되었습니다.
선거에서 승리한 마오이스트 공산당과 푸시파 카말 다할[프리찬다] 대표 겸 총리(2008.8-2009.5, 2016.8-2017.6)는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과 연합 공산당, 사드바바나당, 마데시족 권리모임 등과 연정을 이룩했으나, 임기 중반에 인기를 잃으며 잠시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에게 총리직을 내주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첫 임기에 헌법 제정에도 실패하며 다시 치러진 제헌의회 겸 총선에서 제1당을 차지한 네팔 의회당이 의견 차를 뒤로하고 제2당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및 왕실주의자인 국가민주당과의 연정 결단을 내리면서 마오이스트 공산당은 제1야당으로 밀려났습니다.
게다가 마오이스트 반군 시절 행적에 꺼림칙함을 느끼던 중도층이 5년 간의 실정과 당내 분열에 더욱 실망한 나머지 의석수가 1/3 토막(220->80) 가까이로 추락하는 참패까지 겪게 됐습니다.
이 때부터 네팔 정치는 이름값만 보면 중도정치와는 매우 거리가 멀어 보이는 원내 공산주의 정당들이 넘쳐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전혀 개의치 않는 초당파적 연립 형태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그나마 친중파인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과 친인도파인 네팔 의회당, 두 면모 모두를 보이는 네팔 통합 공산당[마오주의]의 집권 여부가 영토분쟁을 겪고 있는 주변국들의 관심을 끄는 정도입니다.
2대 제헌의회는 14년 초까지 이어진 연정 불발로 인한 임시 내각과 거듭된 초대 대통령 임기 연장 사건, 신헌법에 반발하는 일부지역의 유혈사태, 그리고 마오주의 정당의 반대로 인한 의회 공성전이라는 여러 우여곡절을 겪고 난 후 임기 중반인 2015년에 그나마 신헌법을 내놓을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국내 정치의 안정을 막 찾으려고 하는 시점에 하필이면 네팔 대지진이 터지면서 사회경제적 피해와 주요 수입원인 관광산업에 치명타를 입으면서 이를 수습해 나가야 할 네팔 의회당과 수실 코이랄라 당시 총리(2014.2-2015.10)는 계속해서 사임 압박에 직면하였으며,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대표(2015.12-2016.8, 2018.2-2021.7)가 총리직에 올랐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공산당 간의 정치적 충돌로 인한 비이념적 소모전에 염증을 느낀 나머지 양대 공산당 및 군소 공산당들의 통합을 외치는 목소리가 점차 커져갔으며, 네팔 통합 공산당[마오주의]이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으로 개명하고 연합 공산당이 여기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과의 관계가 호전되면서 푸시파 카말 다할[프리찬다] 대표가 다시금 총리직에 오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전체 의석수가 절반 아래로 줄어든 2017년 총선에서 양 당 합쳐서 과반을 확보하는데 성공하면서, 네팔 공산당으로의 합당과 총리-당권 교대 합의에 이르게 됐습니다.
한편, 통합된 네팔 공산당에 대한 일부 마오주의 공산당원들의 실망감을 포착한 마오이스트 공산당 출신(2015년 탈당)의 바부람 바타라이 전 총리(2011.8-2013.3)는 신권력당에 이어 네팔 사회주의인민당을 창당하여 이를 끌어들이려 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반발을 무릅쓰고 성립된 네팔 공산당도 결국 내부 분열을 못했습니다. 마르크스-레닌주의 공산당 대표 출신의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총리 겸 공동대표가 친중 논란 속에 건강 문제까지 제기되는 상황에서 임기 중반 총리-당권 교환 약속을 파기하고 총리직을 계속해서 유지하려 한 것입니다.
결국 네팔 공산당은 3년 만에 붕괴되었으며,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과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뿐만 아니라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출신 마다브 쿠마르 네팔(2009.5-2011.2), 잘라 나스 카날(2011.2-2011.8) 전 총리들의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까지 생겨나면서 사실상 이전보다 더 갈가리 찢어진 신세가 되고 말았습니다.
이 중에서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는 분파시절부터 네팔 사회주의인민당 성립과정 속에 국가민주당 및 마데시족 권리모임의 후예 연방사회주의자 모임과 엮이면서 여러가지로 복잡한 형성사를 띄게 됐습니다.
그렇게 네팔 정치가 더욱 혼란스러워지던 와중에 코로나 사태에 부닥치며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주도 내각은 무능 논란까지 휩싸이고 말았습니다. 그 결과, 2021년 5월 부로 네팔 의회당과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 및 네팔 공산당[통합사회주의]의 연정 가능성이 두드러졌습니다. 이에 총리는 11월 조기 총선을 통해 불신임 위기를 돌파하려 했으나, 대법원에 가로막히며 순순히 정권을 내놓을 수밖에 없어졌습니다.
범 좌파 거국내각(네팔 의회당,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 네팔 공산당[통합사회주의], 네팔 사회주의인민당, 민주사회주의당)에 맞선 사실상의 유일 거대 야당으로 전락한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는 칼을 갈며 22년 11월까지 치러질 총선에서의 제1당 등극을 통한 역전극을 노리고 있었으나, 전초전 격으로 치러진 5월 13일 네팔 전국 지방선거에서 오히려 시장직과 기초의원직들을 대거 상실하며 재집권 희망이 암울해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셰르 바하두르 데우바 총리(1995.9-1997.3, 2001.7-2002.10, 2004.6-2005.02, 2017.6-2018.2, 2021.7-)가 이끄는 제1여당 네팔 의회당은 네팔 사회주의인민당과 함께 크게 선전하며 보합세를 보인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 네팔 공산당[통합사회주의]에 비해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면서 올해 총선에서의 제1여당 지위 유지와 총리직 지속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한편, 수도인 카트만두에서는 유명 래퍼 출신의 발렌드라 샤 무소속 후보가 반부패, 사회기반시설 확충, 문화유산 보호를 기치로 불출마한 마오이스트들과 네팔 공산당[통합사회주의] 등의 지지층 및 중도층을 대거 흡수하여 여성혐오 발언 논란에도 불구하고 1, 2당 출신 후보들을 모두 큰 폭으로 제치며 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로부터 시장직을 탈환하는 완승을 거뒀습니다.
위와 같은 주요 정당 및 지역들의 결과와는 별개로, 주체사상을 따르고 김일성을 존경하는 기이한 정당으로 국내외의 이목을 끌던 네팔 노동자농민당은 박타부르의 콘크리트 지지층이 약화되었는지 일부 의석을 잃었습니다.
반대로 국가민주당은 네팔 국가민주당과의 합당 및 재분화와 같은 혼란스러운 요소에도 불구하고 21년 1월 군주제 지지 시위로 대표되는 왕정복고 세력의 집결로 하락세를 뒤집고 나름 현상유지에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각각 마데시족과 따루족의 권익을 외치며 네팔 사회주의인민당에서 떨어져 나온 민주사회주의당과 인민자유당이 소수민족들의 호응을 얻는데 성공했는지 무소속과 함께 유의미한 의석을 획득하며 총선에서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었습니다.
이에 반해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은 친-네팔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네팔 가족당(중도우파 가부장적 보수주의) 노선으로 전향한 네팔 사회주의인민당 전국당 주류와의 갈등으로 민족 정당들과 함께 중도좌파 성향의 본인 파벌인 네팔 사회당을 이끌고 떨어져 나간 바부람 바타라이 전 총리와 힘을 합쳐 차기 총선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그런 상황 속에서 22년 11월 20일 치러진 네팔 총선 및 광역지방선거 결과, 네팔 정치의 중도화, 다변화, 세대교체의 흐름을 타고 네팔 의회당이 제1당 직에 오르기는 했지만 얻은 의석 대부분은 지역구 쪽으로 오히려 득표율은 기존 주류 좌파 3당(CPN[MC], CPN[UML], PSP-N)처럼 신생 정당들에게 많이 뺏기며 크게 떨어졌습니다.
반면에 중도 다변화 세대교체의 흐름을 제대로 탄 여러 신생 정당들이 좌우를 가리지 않고 원내 진입에 성공하거나 의석을 크게 늘렸는데 대다수는 22년 5월 13일 기초지방선거 때부터 두각을 보이기 시작했으나, 기네스북에 오른 방송 송출시간으로 유명해진 반부패 운동가 언론인 라비 라미크하네가 창당한 민족독립당이나 비폭력 민주운동을 통한 자치권 획득을 원하던 마데시 독립 동맹의 후신인 여론당과 같이 지방선거 전후까지도 별다른 존재감이 없던 세력도 있었습니다.
집권 민주좌파동맹(네팔 의회당,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중심] – 네팔 사회당,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민주사회주의당, 인민민족전선)이 136석으로 과반 확보(138/275)에 실패하고, 협상을 거듭함에 따라 제1, 2당 중 어느 한쪽의 반대를 받을 수밖에 없는 네팔 의회당과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출신이 아닌 푸시파 카말 다할[프리찬다] 대표가 3번째 임기를 거머쥘 것이 유력해졌습니다.
이는 5년 임기의 후반부 총리를 맡을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단순 군주제 복고주의에서 벗어나 광역자치단체 폐기를 주장하는 네팔 정계의 오른쪽 날개 역할을 자처하게 된 국가민주당, 연정 적극 참여를 통한 정부 내 마데시 여론 환기를 중요시하는 여론당과 지분을 나누는 거국연정 및 다른 원내 정당들의 신임과 보완 형태가 될 것으로 보였습니다.
한편, 총선이 끝나자 전국 정당 원내 단체 규정 때문인지 CPN[US]을 필두로 한 3% 미만 득표 정당들은 그 성향을 막론하고 무소속 모임으로 묶이게 되었으나 그 안에서도 주체사상을 신봉하는 네팔 노동자농민당과 또다른 극좌 정당인 인민민족전선 소속의원 2명 정도를 제외하면 대체로 해당 타협안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분위기였습니다.
그리고 23년 1월 10일 차기 총리 신임투표가 실제로 치러진 과정에서도 네팔 의회당 및 기타 연정 비 참여 정당들의 승인 속에 275명 중 268명의 지지라는 압도적 결과로 연정 선출 과정이 싱겁게 마무리됐습니다.
다만 같이 치러진 광역자치단체 연방 주의회 선거에선 겉으로나마 화목한 중앙정치와는 좀 다른 모습이 나타났는데, 7개 광역의회 대부분이 제2, 3당을 차지한 두 공산당의 합심 속에 제1당 네팔 의회당이 지역 연정에서 배제되는 결과(예외: 네팔 의회당이 제2당인 동쪽 제1지방)로 이어지면서 수두르파쉬침 주 같은 곳에선 네팔 의회당의 불신임 반격에 의한 2월 중순 지역수장 교체와 같은 난투가 벌어지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라비 라미크하네 신임 부총리가 SNS를 통해 얻어낸 폭발적인 인기에도 불구하고 07-17년 미국 시민권 취득 당시와 그 이후 5년 간의 무국적자 지위로 인한 피선거권 적법성 논란이 제기되어 직위 및 의석을 박탈당하는 등, 코로나 여파로 인한 관광산업 타격 회복 및 24년 최빈국 탈출을 목표로 하며 순탄했던 연정 구성과는 정반대되는 정치적 좌충우돌이 어느정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만장일치에 가까운 지지 속에 출범한 푸시파 카말 다할[프리찬다] 신정부가 240년간 이어진 왕국체제를 뒤엎은 06-08년 네팔 혁명 이래의 내각 10개 출범 같은 정치적 혼란상과 미국, 중국, 인도와의 외교 문제, 인도에서부터 올라오는 힌두민족주의의 불안감, 22년 8.5%로 두배 늘어난 인플레이션과 극심한 청년실업률을 그들만의 다당적 대중민주주의를 통해 또다른 분열 없이 극복해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출처 목록 링크
https://twitter.com/Politicx_/status/1607403560077230088
https://twitter.com/Politicx_/status/1594005122849218561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23992915562475522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18991778899841025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16418203890249729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15050249185140737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15035077603524609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12805416156819456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7014662503288833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2665895783866369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2660542589853697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2606413565800448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2589088863129600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2305737090543616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1151647035854848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0853012368560128
https://twitter.com/AsiaElects/status/1600069570571948032
https://twitter.com/ElElectoral/status/1609031447884480512
https://twitter.com/ElElectoral/status/1607020332027633668
https://twitter.com/FEscrutinio/status/1607000624490549248
https://twitter.com/FEscrutinio/status/1594036205469171714
https://twitter.com/ElectoPanorama/status/1594708537086713856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2030000&bid=0004&list_no=10486&act=view
'국제정치 > 아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키(튀르키예) 정치 현황.jpg (0) | 2023.03.09 |
---|---|
이스라엘 정치 현황.jpg (0) | 2023.02.28 |
[속보] 대만 지방선거+국민투표 최종결과.jpg (0) | 2022.11.28 |
[속보] 카자흐스탄 대선 최종결과.jpg (2) | 2022.11.24 |
[속보] 말레이시아 총선 최종결과.jpg (2) | 2022.11.23 |
댓글